상세페이지의 닫기 function을 일괄 주석처리 

$('#btnClose').on('click', function() {
	$("#tblList tbody tr").removeClass("selected");
	$("#divInfo").hide();
});

파일검색시 Regular expression 체크박스 선택후 

ds

\$\(\'\#btnClose\'\)\.on\(\'click\'\, function\(\) \{ \r\n.*\r\n.*\r\n\}\)\;$

> 특수문자기호 앞에는 \(역슬러리) 처리 

/* $0 */ 

> $0 검색 결과의 검출된 대상을 지칭 

 

 

일괄 주석처리 

'Issue Trac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CD  (0) 2022.09.12
GIS WMS, WFS  (0) 2022.07.17
svn: E204900  (0) 2022.05.09
linux 사용자계정이 변경 안되는 경우  (1) 2022.04.26
톰캣 스케쥴러 중복실행되는 문제  (0) 2020.03.17
CI/CD

application 개발부터 배포 때까지 이 모든 단계들을 자동화를 통해서 조금 더 효율적이고 사용자에게 빈번이 배포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의미.

 

출처 : youtube 드림코딩

CI(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인 통합의 약자

CD(Continuous Delivery) 지속적인 제공의 약자 또는 (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인 배포로 사용하는 경우도 존재

 

 

CI - 버그수정 또는 새로만드는 기능들이 메인 레파지토리에 주기적으로 빌드되고 테스트되어 merge 되는것을 의미.

  • 코드 변경사항을 주기적으로 빈번하게 머지해야한다. (최대한 작은단위로 나뉘어 개발하고 통합해 나가는것을 권고)
  • 통합을 위한 단계(source build, test, merge)의 자동화

CD - 마지막 배포단계에서 어떻게하면 자동화로 배포될지를 고민하는 단계이며 최종단계가 자동화가 되어있는지 아닌지에 따라서 Delivery(일부 수동적) 일지 Deployment(자동화)일지 나뉜다.

 

출처 : 드림코딩 - CI/CD 5분 개념 정리 (현업에서 쓰는 개발 프로세스

 

Eclipse Commit Error svn: E204900

해결 방법은 아래 와 같은 경우도 있으나,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deeperain&logNo=221447075864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List.naver?blogId=deeperain [네이버/ 요리하는 개발자]

 

글쓴이 같은 경우에는 다른이유보다 SVN 저장경로가 용량이 꽉 차서 해당 오류가 발생하였다.

 

 

'Issue Trac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CD  (0) 2022.09.12
GIS WMS, WFS  (0) 2022.07.17
linux 사용자계정이 변경 안되는 경우  (1) 2022.04.26
톰캣 스케쥴러 중복실행되는 문제  (0) 2020.03.17
원격 데스크톱 연결 실패  (0) 2018.01.11

su - 변경할계정 / Switching User 가 안되는 경우 또는 아무 반응이 없을경우.

 

1. vi /etc/passwd 확인

bin/false로 되어 있다면 로그인이 불가능한 계정 

대안 > su - username -s /bin/sh 스위칭으로 우회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변경을 한다. 

 

2. bash 부여가 안된경우

  usermod -s /bin/bash username 명령어로 변경할 사용자계정의 bash를 부여한다.

 

 

주의: 개인적인 경험이므로 정확한 옳바른 해결방법은 아닐수도 있습니다.

 

참고사이트

https://sup2is.tistory.com/65

'Issue Trac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S WMS, WFS  (0) 2022.07.17
svn: E204900  (0) 2022.05.09
톰캣 스케쥴러 중복실행되는 문제  (0) 2020.03.17
원격 데스크톱 연결 실패  (0) 2018.01.11
Eclipse 느려짐, 속도개선방법  (0) 2017.12.11

로컬PC에서는 스케쥴러가 1번 실행되는데,

[문제상황] 배포한 톰켓에서는 스케쥴러가 2번 실행된다.

 

왜? 그럴까

이유는 생각보다 간단했다.

 

톰캣 기본설정 경로가 webapps 최상단으로 기본설정 되어있다.

그러므로, war파일에서 설정한 스케쥴러와 war파일 압축해제한 프로젝트 스케쥴러가 실행되어서

스케쥴러가 총 2번이 실행됨.

 

해당 이슈는 단순 톰캣의 환경설정문제,

그리하여 해결방법으로는 톰캣의 기본설정을 해지하거나 경로를 지정해주는데

필자의 경우에는 해당 기본설정에 webapps/프로젝트 파일명 으로설정해주었다. [경로를 지정해준다고 생각하면된다 ] 

 

배포할때 war파일을 파일압축해제하여 war파일을 해제한다음에

tomcat을 start.bat 배치파일을 실행하였다.

 

조금 설명이 부족한거같아. 작업실행순서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프로젝트 war파일 export -> 개발/운영 톰켓의 webapps 폴더에 war파일 복사 -> war 압축해제 -> 톰캣 starts.bat 실행

 

'Issue Trac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E204900  (0) 2022.05.09
linux 사용자계정이 변경 안되는 경우  (1) 2022.04.26
원격 데스크톱 연결 실패  (0) 2018.01.11
Eclipse 느려짐, 속도개선방법  (0) 2017.12.11
java.lang.AbstractMethodError  (0) 2017.12.07

서버PC에 원격 데스크톱 원격 연결을 시도하였는데,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왔다.

이와 같은 오류가 나오는 이유는 라이선스 서버가 지정되지 않은 상태에서120일 유예기간이 만료되면서 라이선스 서버 접속 시 오류 발생한다고 한다.



원격 세션의 연결이 끊어진 문제해결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2. 만일의 사태를 대비하여 레지스트리 백업파일을 준비 (아래 사진의 '내보내기'로 현재 레지스트리파일 저장)

3. 레지스트리 파일 백업 저장 후 다시 오른쪽 클릭 후 '사용권한' 클릭


4. 아래 사용권한에서 모든권한과, 읽기 옵션을 허용으로 체크

(본인은 모든권한은 허용하지않을 생각이므로 모든권한에는 체크하지않음)


5. 기존의 L$RTMTIMEBO 파일을 삭제


6. 다음으로 서비스(로컬)에 들어가 Remote Desktop Service를 다시 시작


위 과정을 모두 실행 한 후 다시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하면, 정상 작동을 할 것이다.




출처 :  http://tempdb.tistory.com/105

'Issue Trac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E204900  (0) 2022.05.09
linux 사용자계정이 변경 안되는 경우  (1) 2022.04.26
톰캣 스케쥴러 중복실행되는 문제  (0) 2020.03.17
Eclipse 느려짐, 속도개선방법  (0) 2017.12.11
java.lang.AbstractMethodError  (0) 2017.12.07

어느날 부터인가, 전자정부프레임워크가 조금씩.. 조금씩 느려지다가 이제는 약 30초 정도 멈춤현상까지 일어나는거 같았다.

그리하여 이클립스 속도를 개선하고자, 구글링을 해보았다.


구글링 검색 결과 개선방법은 크게 (heap메모리 정리, eclipse 메모리 환경설정 변경) 2가지 방법이 있었다. 


_______


첫번째로는 heap 메모리 정리하는 heap 메모리 아이콘(일명 이클립스 휴지통?)을 생성


window - preferences - General - Show heap status 체크 - OK


위와 같이 설정시 아래사진과 같이 오른쪽 하단의 heap Status 아이콘이 나오는것을 확인할수 있다.
(휴지통같이?)생긴 heap status 버튼을 클릭하면, heap 메모리가 정리가 된다.



______________


두번째로는 이클립스 메모리환경 수정 방법



변경할 대상의 이클립스 바로가기(마우스 우클릭) - 속성(클릭) - 파일 위치 열기(F) - eclipse.ini (오른쪽클릭-편집) 


본인은 최소 512m 최대 2096m으로 이클립스의 메로리 환경설정을 변경하였다.




글을 마치며, 

속도를 개선을 한다는 느낌이 들기는 하였지만.. 문제해결 이라기보다는, 불필요한 메모리를 정리하는 개념인거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Issue Trac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E204900  (0) 2022.05.09
linux 사용자계정이 변경 안되는 경우  (1) 2022.04.26
톰캣 스케쥴러 중복실행되는 문제  (0) 2020.03.17
원격 데스크톱 연결 실패  (0) 2018.01.11
java.lang.AbstractMethodError  (0) 2017.12.07

새로 추가된 추상클래스를 기존소스에 import하고서, pom.xml 파일을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은 오류가 계속 발생한다. 





Details >> 

An error has occurred. See error log for more details.

org.apache.xerces.dom.DocumentImpl.getXmlStandalone()Z



구글링 검색 결과


1.  자바 버전의 문제

2.  Eclipse의 ini 환경설정에 -clean 설정하는 방법

3.  Eclipse 전체를 update 하는 방법



1번 자바 버전의 문제해결 방법은

이클립스 툴의 window - Preferences - Java - Compiler 항목을 클릭한후, JDK Compliance의 Compiler compliance level 의 값을 변경한다.


하지만 본인은 level값을 변경해보아도 문제현상이 해결되지는 않았다.



2번 이클립스 환경설정 방법은

바탕화면에 Eclipse의 파일을 오른쪽 클릭후 - 속성 - 파일 위치 열기(F)을 한뒤

eclipse.ini 파일을 찾아 오른쪽 클릭후 편집으로 열어 설정을 해준다.

( -clean 설정을 할때 -vmargs보다 앞에 위치해야 한다고 한다. ) 


-clean을 적어주고 이클립스를 다시 실행해보았으나, 이것또한 문제현상은 해결되지 않았다.



3번 이클립스 update 방법은

이클립스 툴에서 Help - Check for Updates 을 하면 된다고 하는데,

실행시 Eclipse를 전으로 되돌리수가 없는 리스크가있어, 자칫하면 Eclipse재설치를 해야하므로,

본인 사정상 3번은 시도를 해볼수는 없었다.



비록 본인은 문제해결은 하지 못하였지만,  읽은이에게는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문제현상이 해결되기를 바라며..

(문제해결시 내용을 추가 할 예정)





참고 : 표준프레임워크 Q&A https://open.egovframe.go.kr/ 



'Issue Trac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E204900  (0) 2022.05.09
linux 사용자계정이 변경 안되는 경우  (1) 2022.04.26
톰캣 스케쥴러 중복실행되는 문제  (0) 2020.03.17
원격 데스크톱 연결 실패  (0) 2018.01.11
Eclipse 느려짐, 속도개선방법  (0) 2017.12.11

+ Recent posts